k8s > GCE를 이용해서 설치하기(3) - CNI
Calico를 이용해서 Container Network Intercace 구축하기
Docs
https://docs.tigera.io/calico/latest/getting-started/kubernetes/quickstart
Quickstart for Calico on Kubernetes | Calico Documentation
Install Calico on a single-host Kubernetes cluster for testing or development in under 15 minutes.
docs.tigera.io
kubeadm을 이용해서 control plane을 init해준 후에 진행합니다.
Tigera Calico Operator
우선 Tigera Calico Operator를 설치해야한다.
기존에는 apply 명령을 사용한거같은데 큰 사이즈의 CRD bundle로인해서 kubectl apply가 요청 제한을 초과할 수 있다고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다음과 같이 create 명령을 사용한다.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rojectcalico/calico/v3.27.3/manifests/tigera-operator.yaml
kubectl create -f tigera-operator.yaml
파일 내용이 필요할지도 몰라서 wget으로 파일을 받고 실행해주었다.
Custom-resources
필수 커스텀리소스를 설치한다. CIDR을 다르게 설정한 경우 (192.168.0.0/16이 아닌 경우)에는 값을 변경해줘야한다.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rojectcalico/calico/v3.27.3/manifests/custom-resources.yaml
kubectl create -f custom-resources.yaml
모두 설치를 마치면 Status가 Ready로 변경된다!
kubectl get nodes -o wide
Auto complete
kubectl 자동완성에 관한 설정들이다.
https://kubernetes.io/ko/docs/reference/kubectl/cheatsheet/
kubectl 치트 시트
이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kubectl 커맨드와 플래그에 대한 목록을 포함한다. Kubectl 자동 완성 BASH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 bash-completion 패키지를 먼저 설치한 후, bash의 자동 완성을 현재
kubernetes.io
Bash인 경우에 다음 명령을 사용 가능합니다.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 bash-completion 패키지를 먼저 설치한 후, bash의 자동 완성을 현재 셸에 설정한다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 ~/.bashrc # 자동 완성을 bash 셸에 영구적으로 추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