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E를 이용해 VM을 만들고 kubernetes를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하려합니다.
k8s공부를 틈틈이 진행할 계획이라 당분간 여러가지를 동시에 진행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우선 GCE를 이용해서 VM을 만드는것부터 시작합니다.
성격상 직접 하면서 배우는걸 좋아해서 "일단 설치먼저 하자" 라는 마음으로 진행했습니다.
무료 크레딧을 활용할건데 계정 생성은 자료가 많아 스킵하고 VM 인스턴스부터 들어갑니다.
VM인스턴스 생성하기
우선 master node와 worker node를 나누어서 VM을 만들어주었습니다.
사진과 같이 인스턴스를 생성해주면 되는데 다음과 같이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 master node: e2-medium
- vCPU(1~2), Memory(4GB)
- worker node: e2-small
- vCPU(0.5~2), Memory(2GB)
그리고 부팅 디스크로 이미지를 설정해주는데 Ubuntu 20.04 LTS로 진행하였습니다.
주의) 영역을 항상 잘 맞춰줘야 에러가 덜 발생합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k8s삽질과 함께 설치 내용확인이 가능합니다
'Infra & Container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 Deployment (2) | 2024.05.11 |
---|---|
k8s > kubernetes를 배우는 이유, Master & worker node (0) | 2024.04.29 |
k8s > GCE를 이용해서 설치하기(4) - Pod생성해보기 (0) | 2024.04.24 |
k8s > GCE를 이용해서 설치하기(3) - CNI (1) | 2024.04.19 |
k8s > GCE를 이용해서 설치하기(2) - Containerd, k8s설치 (0) | 2024.04.18 |